경제뉴스/국내

K-패스 이용 하고 교통비 할인 받기(알뜰교통카드를 넘는 큰 혜택)

슈니한 2024. 5. 25.
반응형

언제나 국민들의 저렴한 발이 되어주는 대중교통이지만, 대중교통 역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용 비용이 점점 오른다.  왜냐면,  대중교통은 수익이 되는 사업이 아니라, 만성 적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금씩 비용이 오르는 것이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K- 패스 사업을 통해 국민들의 대중교통비를 절감 하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사업을 시작했다. 

 

 

출발/도착 입력 없이 K-패스 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이용요금의 일정 비율만큼 환급!

K-패스 이용 하고 교통비 할인 받기(알뜰교통카드를 넘는 큰 혜택)

 

 

1. 환급비용 지급 기준

▶ 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

  • 가입일 해당 월의 경우 15회 미만에도 환급, 익월부터 15회 미만 이용 시 미지급
  • 60회 이상 이용 시 회당 이용요금이 많은 순으로 60회에 대하여 환급
  • 교통카드사에서 정보 수신 시기에 따라 환급액은 4~14일 이후 확인 가능

 

2. K-패스 환급 비율

▶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환급 비율 책정

구분 일반 청년 저소득
환급비율 20% 30% 53%

 

* 청년 : 「청년기본법」 에 따른 만19세 ~34세

* 저소득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혜택 예시(카드요금 1,500원 기준)

구분 일반 청년 저소득
마일리지(회당) 300원 450원 800원
15회 탑승 4,500원 6,750원 12,000원
60회 탑승 18,000원 27,000원 48,000원

 

 

3. 지급방법 과 K-패스 사용 절차

1) 지급방법

▶ K-패스 카드 사용 익월에 청구 할인(신용카드), 계좌 입금(체크카드), 충전(모바일선불카드) 방식 등 카드사

    으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

  • 하나카드의 경우 사용 2개월 후에 마일리지 지급

2)  K- 패스 사용 절차

① 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 

▶ 알뜰교통카드 APP/홈페이지를 통하여 K-패스 회원전환 후 별도 카드 발급 없이 기존 알뜰교통카드로

    이용 가능 

  • 회원전환을 하지 않고 이용할 경우 K-패스 환급비용 미지급 ( ~ '24. 6. 30.까지 전환 가능)

② K- 패스 신규가입회원

▶ K-패스 카드 발급 후 K-패스 App/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가입

  1. 카드발급
  2. 앱설치(선택)
  3. 회원가입
  4. 카드사용


3) 카드 발급사

신한, 우리, 하나, 삼성, KB국민, NH농협, BC(기업, 케이뱅크, 광주은행),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 '24. 4. 24.(수) 부터 각 카드사에서 K-패스 카드신청 후, 5월 1일부터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가능

 

4. 회원가입 절차

① 카드사에서 K-패스 카드 신청 및 수령

② K-패스 App 또는 홈페이지(www.korea-pass.kr) 접속

③ [회원가입] 클릭

④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6자리 입력, [유효성체크] 클릭

⑤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진행(PASS앱 또는 문자인증)

⑥ 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

  • 저소득 대상일 경우 저소득 검증 추가 실시

⑦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완료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반응형

댓글

💲 추천 글